후고 볼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고 볼프는 1860년 슬로베니아에서 태어나 1903년 사망한 오스트리아의 작곡가이다. 빈 음악원에서 수학하고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했으며, 1880년대에 음악 비평가로 활동하며 바그너를 숭배하고 브람스를 비판했다. 1888년부터 가곡 작곡에 전념하여 《뫼리케 가곡》, 《괴테 가곡》 등을 발표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오페라 《코레히도르》를 작곡하기도 했다. 말년에는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았으며, 가곡에서 낭만주의의 특징을 보여주며 독일 가곡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베니아계 오스트리아인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슬로베니아계 오스트리아인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20세기 후반 오스트리아의 대표적인 지휘자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은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과 빈 국립음대 출신으로 베를린 필하모닉 종신 지휘자를 역임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나치 시대 활동으로 논란이 있으며, 독특한 지휘 스타일과 음악적 완성도로 다양한 레퍼토리를 해석하고 잘츠부르크 음악제 음악감독으로도 활동하며 클래식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빈 국립음악예술대학교 동문 - 프란츠 리스트
프란츠 리스트는 19세기 헝가리 출신의 "피아노의 왕"이라 불린 천재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로, 혁신적인 기법과 화려한 연주, 교향시 창시, 표제음악 발전, 바그너 지원, 종교 음악 작곡, 후진 양성 등 음악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빈 국립음악예술대학교 동문 - 안톤 브루크너
안톤 브루크너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11개의 교향곡과 종교 음악 등을 작곡했으며,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19세기 서양 고전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매독으로 죽은 사람 - 프란츠 슈베르트
프란츠 슈베르트는 1797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600곡이 넘는 가곡을 포함한 1,200여 곡의 방대한 작품을 남긴 낭만주의 작곡가이다. - 매독으로 죽은 사람 - 기 드 모파상
기 드 모파상은 19세기 프랑스 소설가로,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아 《여자의 일생》, 《벨아미》 등 장편소설과 300여 편의 단편을 발표하며 인간의 욕망과 사회 위선을 그려내 현대 단편 소설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후고 볼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지 | 슬로베니아빈디슈그라츠(현재의 슬로베니그라데츠) |
출생일 | 1860년 3월 13일 |
사망일 | 1903년 2월 22일 |
사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빈 |
직업 | 작곡가, 음악 평론가 |
장르 | 클래식 음악, 가곡 |
학력 | 빈 국립 음악 대학 퇴학 |
참고 | |
관련 인물 | 리하르트 바그너에게 영향받음 |
2. 생애
후고 볼프는 1860년 3월 13일 남오스트리아의 빈디슈그라츠(현재의 슬로베니아 슬로벤그라데츠)에서 태어났다. 빈 음악원에서 배웠고, 이후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했다. 잘츠부르크에서 잠시 제2악장(樂長) 지위를 얻었으나, 다시 빈으로 돌아와 1884년부터 3년간 《빈 사론브라트》지에 음악 비평을 기고했다.
1888년부터 작곡에 전념하여 《뫼리케 가곡》, 《아이헨도르프 가곡》, 《괴테 가곡》, 《에스파냐 가곡》, 《이탈리아 가곡》 등을 발표했다. 1895년에는 오페라 《코레히도르》를 작곡하여 만하임에서 초연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897년 볼프는 정신 이상 증세를 보이기 시작하여 1898년 빈의 정신병원에 입원했다. 1903년 2월 22일 그곳에서 43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2. 1. 초기 생애 (1860-1887)
후고 볼프는 1860년 3월 13일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였던 빈디슈그라츠(현재의 슬로베니아 슬로벤그라데츠)에서 태어났다.[2] 그의 집안은 슬로베니아계였으며, 원래 성은 보우크(Vouk)였다.볼프는 4세부터 아버지로부터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배웠으며, 초등학교 시절에는 제바스티안 바익슬러에게 피아노와 음악 이론을 배우는등 신동이었다. 그러나 음악 외의 다른 과목에는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그는 처음 다닌 중등학교에서 "전적으로 부적절하다"는 이유로 퇴학당했고, 필수 라틴어 수업의 어려움으로 또 다른 학교를 떠났으며, 그의 "빌어먹을 음악"에 대해 언급한 교수와 다툰 후 마지막 학교를 자퇴했다.
이후, 빈 음악원에 진학했으나, 2년 만에[5] "규율 위반"으로 다시 퇴학당했다. 반항적인 성향을 보였던 볼프는 학교의 보수성에 좌절하여 자퇴했다고 주장했다.
가족과 함께 8개월을 보낸 후, 빈으로 돌아와 음악을 가르쳤다. 그의 불같은 성격이 가르치는 데 이상적이지는 않았지만, 볼프의 음악적 재능과 개인적인 매력은 그에게 관심과 후원을 가져다주었다. 후원자들의 지원으로 작곡가로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고, 가장 위대한 후원자 중 한 명의 딸은 그가 그의 첫사랑인 발리 ("발렌타인") 프랑크에게 글을 쓰도록 영감을 주었으며, 그녀와 3년 동안 관계를 맺었다. 이 시기 그의 가곡에서 성숙한 스타일의 힌트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볼프는 우울증과 극심한 기분 변화에 취약했고, 이는 그의 일생 동안 그에게 영향을 미쳤다.
1884년부터 3년간 《빈 사론브라트》지(紙)에 음악비평을 썼다. 그는 당시 음악적 분위기를 잠식하는 열등한 작품들에 대해 무자비한 비판을 가했으며,[6] 안톤 루빈슈타인의 작품을 특히 혐오했다. 그러나 리스트, 슈베르트, 쇼팽의 천재성을 인식하고 열렬히 지지했다. 그의 신념의 강렬함과 표현력으로 인해 "와일드 볼프"로 알려졌다.
1887년 비평가로서의 활동을 중단하고 다시 작곡을 시작했다.
2. 2. 비평가 활동과 방황 (1884-1887)
1884년부터 3년간 볼프는 빈의 "살롱블라트(사교지)"에서 음악 평론가로 활동하며 타협 없는 신랄한 비평으로 명성을 얻었다.[21] 열렬한 바그너 숭배자였던 그는 브람스를 평생 무시했다.[21]볼프가 브람스를 무시하게 된 것은 1879년경 두 사람의 만남 때문이었다. 볼프가 자신의 작품을 가지고 브람스를 방문했을 때, 브람스는 그에게 더 넓은 음악 세계를 경험하고 베토벤의 작품을 연구하며 대위법을 숙달하라는 조언을 했다. 이는 볼프에게 자신에 대한 비판처럼 들렸고, 당시 바그너파와 브람스파의 대립에 편승하는 계기가 되었다.
1887년, 볼프는 12개의 가곡을 발표하고 살롱블라트에서의 비평가 활동을 그만두고 작곡에 더욱 몰두했다. 그 후 9년 동안 그는 작곡가로서 명성을 얻었다.[21]
2. 3. 창작의 절정기 (1888-1896)
1888년부터 1896년까지는 볼프의 창작 활동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였다. 1888년에 그는 페르히톨스도르프와 에크슈타인의 별장에서 뫼리케 가곡집과 아이헨도르프 가곡집을 썼고, 이어서 1889년까지 51곡의 괴테 가곡집을 작곡했다.[8] 1889년 10월에는 스페인 가곡집을, 1891년에는 이탈리아 가곡집의 전반부를 완성했다.[8]볼프의 작품은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뮌헨 알게마이네 차이퉁에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8] 브람스의 추종자들은 볼프의 작품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브람스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볼프의 작품을 인정하게 되었다.[8]
1895년에는 오페라 코레히도르를 작곡하여 이듬해 만하임에서 초연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8] 페드로 안토니오 데 알라르콘의 삼각모자를 바탕으로 한 이 오페라는 간통하는 삼각관계에 대한 어두운 유머를 다루고 있는데, 볼프는 친구의 아내인 멜라니 쾨허트와의 사랑을 이 이야기에 투영한 것으로 보인다.[8]
1896년에는 24개의 가곡을 작곡했고, 1897년 3월에는 미켈란젤로의 시에 의한 3개의 가곡을 작곡했다.[8]
2. 4. 정신 질환과 죽음 (1897-1903)
1897년 2월, 볼프는 마지막 콘서트에 출연하였는데, 이 공연에는 그의 초기 지지자였던 예거도 함께 했다.[9] 그 직후 볼프는 매독으로 인한 정신 질환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9] 증세는 악화와 호전을 반복했으며, 1897년에는 정신을 완전히 잃기 전 마지막으로 작곡한 작품인 미완성 오페라 《마누엘 베네가스》를 60쪽 분량으로 남기기도 했다.[9]1899년 중반 이후, 볼프는 더 이상 작곡 활동을 할 수 없었으며,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다.[9] 결국 그는 자신의 의지로 빈의 정신 병원에 입원하였다.[9] 1897년 9월에는 매독의 영향으로[21] 친구가 제공한 집에서 정신병원으로 강제 수용되기도 하였으며, 4개월 후인 1898년 1월에 퇴원하였다.[21] 그 한 달 뒤에는 트라운 호수에서 자살을 시도했으나, 미수에 그쳤다.[9]
볼프의 연인이었던 멜라니는 볼프가 사망할 때까지 곁을 지켰다.[9] 볼프는 1903년 2월 22일 빈의 정신병원에서 4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9] 그의 유해는 빈 중앙 묘지에 안치되었으며, 묘지에는 다른 유명한 작곡가들도 함께 안장되어 있다.[9]
3. 음악의 특성
볼프는 낭만주의 음악에서 최후의 가곡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가곡은 근대적인 성격을 띠며, 리하르트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화성과 복잡한 조바꿈 기법을 사용한다. 특히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에서 나타나는 화성 기법이 볼프의 가곡에도 드러난다.[21] 피아노는 노래에서 자유롭게 표현되며, 시의 의미, 낭송, 시구의 의미를 섬세하고 충실하게 음악에 표현하는 데 탁월했다.
볼프는 조성을 사용하여 의미를 강화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두 개의 조성 영역에 집중하여 텍스트의 모호함과 갈등을 음악적으로 묘사하는 것은 그의 스타일의 특징이며, 노래의 의미에 적합할 때만 해결되었다. 그가 선택한 텍스트는 종종 고뇌와 해결책을 찾을 수 없음을 담고 있었고, 따라서 조성 또한 방황하며 원래의 조로 돌아갈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거짓 종지, 반음계, 불협화음, 반음계적 중음의 사용은 심리적 긴장이 유지되는 한 화성적 종착점을 모호하게 만들었으며, 형식 구조 또한 설정된 텍스트를 반영했다.
볼프의 가곡은 독일어 가사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어 외국인이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독일 가곡의 정점을 이루는 작곡가로도 소개된다.[21] 그의 음악적 특징으로는 가곡에서 피아노 반주에 사용되는 라이트모티프나 독일어의 음운 및 악센트 등을 활용한 점, 그리고 시의 선정이나 시에 대한 음악적 해석 등이 꼽힌다.
대표적인 볼프 가곡 가수로는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와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 등이 있다.
4. 주요 작품
후고 볼프는 오페라, 가곡, 기악곡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작곡했다.
볼프는 2개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제목 | 초연일 | 비고 |
---|---|---|
코레히도르 | 1895년 | |
마누엘 베네가스 | 1897년 | 미완성 |
볼프는 독일 가곡의 정점을 이루는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가곡은 피아노 반주에 라이트모티프를 사용하거나 독일어의 음운 및 악센트 등의 특징을 살린 것으로 유명하다.[21]
볼프의 주요 기악곡은 다음과 같다.
- 스케르초와 피날레 (1876, 7)
- 변주곡 작품번호 2 (1875)
- 피아노 소나타 사장조 작품번호 8 (1876)
- 론도 카프리치오소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15 (1876)
- 유머레스크 사단조 (1877)
- 라단조 현악 사중주 (1878–84)
- 라단조 (1879~84)
- 소곡 (1880)
- 교향시 펜테실레이아 바단조 (1883~5)
- ''펜테실레아'' (교향시, 1883–85)
- 간주곡 내림 마장조 (1886)
- 이탈리아 세레나데 사장조 (1887, 현악 사중주; 1892년 관현악 편곡)
- 이탈리아풍 세레나데 (현악 사중주)
- 솔헤우그의 잔치 (Das Fest auf Solhaug) (1890)
4. 1. 오페라
볼프는 2개의 오페라를 작곡하였다.제목 | 초연일 | 비고 |
---|---|---|
코레히도르 | 1895년 | |
마누엘 베네가스 | 1897년 | 미완성 |
4. 2. 가곡
볼프는 종종 독일 가곡의 정점을 이루는 작곡가로 소개된다. 그의 음악의 특징 중 하나로, 가곡에서 피아노 반주에 사용되는 라이트모티프나 독일어의 음운 및 악센트 등의 특징에 착안한 시도가 꼽힌다. 그 외에, 시의 선정이나 시에 대한 음악적 해석 등도 꼽힌다.[21]볼프의 가곡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작곡 연도 | 비고 |
---|---|---|
저녁 그림 | 1877 | |
가곡 모음 | 1878 | |
리더슈트라우스 | 1878 | 하이네의 7개의 텍스트 |
뫼리케 가곡 | 1888 | |
Mörike-Lieder | 1888 | 에두아르트 뫼리케의 시에 의한 53개의 노래 |
뤼케르트 가곡 | 1888~96 | |
아이헨도르프 가곡 | 1886~8 | |
아이헨도르프-리더 | 1889 | 요제프 프라이헤어 폰 아이헨도르프의 텍스트 |
괴테 가곡 | 1888, 9 | |
괴테-리더 | 1875년 작곡, 1889년 출판 | 괴테의 텍스트에 의한 51개의 노래 |
스페인 가곡 | 1889, 90 | |
조국을 위하여 | 1890 | 로베르트 라이니크의 텍스트 |
스페인 가곡집 | 1891 | 파울 하이세와 에마누엘 가이벨의 텍스트 |
이탈리아 가곡 | 1890~96 | |
이탈리아 가곡집 | 1892, 1896 | 파울 하이세의 텍스트 |
미켈란젤로 가곡 | 1897 | |
미켈란젤로 가곡 | 1897 | 미켈란젤로의 텍스트 |
아이의 목소리 작품번호 10 | 1876 | |
세 개의 노래 작품번호 13 | 1876 | |
세 개의 합창 | 1876 |
메리케 시에 의한 가곡집의 주요 곡들은 다음과 같다.
- 「불의 기사」Der Feuerreiter
- 「산책」Fußreise
- 「바일라의 노래」Gesang Weylas
- 「은둔」Verborgenheit
- 「만남」Begegnung
- 「봄에」Im Frühling
- 「요정의 노래」Elfenlied
- 「황새의 심부름」Storchenbotschaft
- 「안녕」Abschied
괴테 시에 의한 가곡집의 주요 곡들은 다음과 같다.
- 「쥐잡이 사나이」Der Rattenfänger
- 「프로메테우스」Prometheus
- 「미뇽의 노래 - 아는가, 저 나라를?」Lied der Mingnon ~ Kennst du das Land?
- 「아나크레온의 무덤」Anakreons Grab
이탈리아 가곡집의 주요 곡은 다음과 같다.
- 「나는 펜나에 한 명의 연인이 있다」Ich hab' in Penna
미켈란젤로의 시에 의한 3개의 가곡도 주요 가곡이다.
대표적인 가수로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와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 등이 많은 볼프의 가곡을 녹음했다.
4. 3. 기악곡
- 스케르초와 피날레 (1876, 7)
- 변주곡 작품번호 2 (1875)
- 피아노 소나타 사장조 작품번호 8 (1876)
- 론도 카프리치오소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15 (1876)
- 유머레스크 사단조 (1877)
- 라단조 현악 사중주 (1878–84)
- 라단조 (1879~84)
- 소곡 (1880)
- 교향시 펜테실레이아 바단조 (1883~5)
- ''펜테실레아'' (교향시, 1883–85)
- 간주곡 내림 마장조 (1886)
- 이탈리아 세레나데 사장조 (1887, 현악 사중주; 1892년 관현악 편곡)
- 이탈리아풍 세레나데 (현악 사중주)
- 솔헤우그의 잔치 (Das Fest auf Solhaug) (1890)
5. 평가 및 영향
볼프는 독일 가곡의 정점을 이루는 작곡가로 소개된다.
그의 음악의 특징 중 하나로, 가곡에서 피아노 반주에 사용되는 라이트모티프나 독일어의 음운 및 악센트 등의 특징에 착안한 시도가 꼽힌다. 그 외에, 시의 선정이나 시에 대한 음악적 해석 등도 꼽힌다.
대표적인 가수로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와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 등이 많은 볼프의 가곡을 녹음했다.
참조
[1]
서적
Chamber Music: A Listener's Guid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2-03
[2]
서적
Geburts- und Tauf-Buch
https://data.matricu[...]
2024-04-20
[3]
웹사이트
Herbert Von Karajan-Karajan Family
http://www.karajan.c[...]
Karajan Family
2012-03-14
[4]
웹사이트
The Shared Slovenian Ancestors of Herbert von Karajan and Hugo Wolf
http://www.canadafre[...]
2008-05-05
[5]
서적
Pergamon Dictionary of Musicians and Music
Pergamon Press
[6]
간행물
Arbeit am Kanon. Zu Hugo Wolfs Musikkritiken
Musicologica Austriaca
[7]
문서
Spanisches-Liederbuch
[8]
서적
The Songs of Hugo Wolf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Wolf, Hugo
https://doi.org/10.1[...]
2021-02-26
[10]
문서
Penthesilea (Wolf, Hugo)
[11]
서적
The Gramophone Shop Encyclopedia of Recorded Music
Gramophone Shop, Inc.
[12]
문서
A Complete List of HMV, Columbia, Parlophone and MGM Long Playing Records Issued up to and including June 1955
EMI
[13]
문서
HMV ALP 1618-1619
[14]
문서
On and Off the Record
Faber and Faber
[15]
문서
Hugo Wolf Society Publications
HMV
[16]
문서
On and Off the Record
[17]
문서
It became rare because HMV claimed that to reissue it would betray the original terms of the limited edition. This was deplored, on behalf of the singer, by Desmond Shawe-Taylor (music critic)|Desmond Shawe-Taylor ('Elena Gerhardt and the Gramophone', in E. Gerhardt, Recital (London, Methuen 1953), 168) and by Gerald Moore (Am I Too Loud? (Harmondsworth 1966), 93).
[18]
문서
See E. Sackville-West and D. Shawe-Taylor, The Record Year 2 (Collins, London 1953), 683-693. Also a listing in the His Master's Voice Recorded Music Catalogue (Hayes, Middlesex: 1943-44), p. 290.
[19]
문서
Hugo Wolf Lieder Publications
Deutsche Grammophon
[20]
웹사이트
Hugo Wolf – the complete songs – vol.11: Goethe Lieder part 2 – Stone Records
https://stonerecords[...]
[21]
웹사이트
ヴォルフの生涯と作品
http://pietro.music.[...]
2022-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